Database/Oracle(16)
-
UNION
UNION 이란? 두개 이상의 SELECT 문을 결합하는데 사용합니다. 두개 이상의 SELECT 문을 결합할때 주의해야 할 점은 각각 컬럼의 개수가 같아야 합니다. UNION 구문은 UNION 과 UNION ALL 두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UNION vs UNION ALL UNION (DISTINCT) - 중복된 레코드를 제거 UNION ALL : UNION 과 같으나 두 테이블의 중복되는 값까지 반환. UNION, UNION ALL 은 일단은 TEMP TABLE 을 생성하고 데이터를 넣는데, UNION 은 INDEX 값을 부여하고 넣는다.(중복된레코드 제거용) INTERSECT(교집합) : 두행의 집합 중 공통된 행을 반환. MINUS(차집합) : 첫번째 SELECT문에 의해 반환되는 행 중, 두번째 ..
2020.12.18 -
SUBQUERY
SubQuery (서브쿼리) 란? SQL 문장의 절에 들어있는(NESTEDED) 또 다른 SELECT 문장입니다. 즉, WHERE절이나 FROM 절에서 사용되는 쿼리를 서브쿼리라고 한다. SubQuery 보통 Subquery 는 Main Query 이전에 한번 실행된다. Subquery 에서는 ORDER BY 를 사용하지 못한다. 단일 행(Sing-Row) Subquery : Subquery(SELECT) 문으로부터 하나의 행만 검색 다중 행(Multiple-Row) Subquery : Subquery(SELECT) 문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행 검색 다중 열(Multiple-Column) Subquery : Subquery(SELECT) 문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컬럼 검색. FROM절의 Subquery(IN..
2020.12.18 -
HAVING
HAVING 이란? GROUP BY 절을 통해 만들어진 GROUP 에 대해서 조건을 거는 것 WHERE 절과 HAVING 절의 차이 WHERE 절은 모든 행에 대해서 조건을 적용합니다. HAVING 절은 GROUP BY 절을 통해 만들어진 GROUP 들에만 조건을 적용합니다. HAVING WHERE 절에서는 집계함수를 사용할 수 없다. HAVING 절은 집계함수를 가지고 조건 비교를 할 때 사용한다. HAVING 절은 GROUP BY 절과 함께 사용이 된다.
2020.12.18 -
GROUP BY
GROUP BY 란? 테이블에서 특정 그룹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로 GROUP BY 절 입니다. GROUP BY GROUP BY 절은 데이터들을 원하는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나누고자 하는 그룹의 컬럼명을 SELECT절과 GROUP BY절 뒤에 추가하면 된다. 집계함수에 사용되는 상수는 GROUP BY 절에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DISTINCT 와 비슷한 기능. 집계함수 사용하여 특정 그룹으로 구분할 때는 GROUP BY 절을 사용하고, 특정 그룹 구분없이 중복된 데이터를 제거할 경우에는 DISTINCT 절을 사용하도록 하자 ROLLUP ROLLUP 구문은 GROUP BY 절과 같이 사용되며, GROUP BY 절에 의해서 그룹지어진 집합 결과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한 정보를 반환하는 기능을 수..
2020.12.18 -
Oracle Functions
Oracle Functions Numberic Functions (숫자형 함수) ABS(n) - 절대값을 계산하는 함수 - ABS(-1.234) == 1.234 CEIL(n) - 올림값을 반환하는 함수 - CEIL(10.1234) == 11 FLOOR(n) - 버림값을 반환하는 함수 - FLOOR(10.1234) == 10 - FLOOR(-10.1234) == -11 ROUND(n, [m]) - n값의 반올림을 하는 함수로 m은 소숫점 아래자릿수 - ROUND(19.153, 1) == 19.2 - ROUND(19.153, -1) == 20 TRUNC(n, m) - n 값을 절삭하는 함수로 m은 소숫점 아래 자릿수 Charater Functions (문자형 함수) CONCAT(char1, char2) - ..
2020.12.18 -
JOIN
조인(JOIN) 이란?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연결 또는 결합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JOIN이 필요한 이유는 정규화 때문인데, 정규화란 불필요한 데이터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이상현상 발생을 피하기 위해, 테이블을 분할하여 생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JOIN 의 종류 (ANSI Query) LEFT OUTER JOIN : 오른쪽 테이블에 조인시킬 컬럼의 값이 없는 경우 사용. RIGHT OUTER JOIN : 왼쪽 테이블에 조인시킬 컬럼의 값이 없는 경우 사용. ANSI Query 란, 단어의 뜻에서 알 수 있덧이 표준쿼리 작성법을 뜻한다. 특징 FROM 절에서 JOIN 구문 사용가능하다. JOIN 조건은 ON 절에 명시한다. WHERE 절에는 검색조건만 명시한다.
2020.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