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ftware(9)
-
API 란
[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일종의 라이브러리 사용 설명서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사용하는 기본함수들은 기능을 구현해놓은 어떤 라이브러를 import 하여 가져다 사용하는 것인데 함수가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시에 파라미터가 필요하면 어떤걸 담아야한다. 이런 사용하는 방법을 기술해 놓은 것을 우리는 API Docs 라고도 한다. 프로젝트시 API 호출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내가 필요로하는 데이터를 어떤 API 를 통하여 가져오는데, DB 어떤 테이블을 참조하여 어떻게 가공해서 가져오는지는 알 필요 없이 우리는 API 에서 원하는 파라미터로 호출만 하면 원하는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API 사용시 주는 쪽과의 협의를 통해 API 맵핑 정의..
2022.08.05 -
Commit Merge (rebase)
Git에서 소스를 Orgin 에 올리기 전 커밋 한 내역들을 하나로 합치는 기능 ex) "작업", "작업1", "작업2" 커밋 들을 "작업" 하나로 합칠 수 있다. 여러 커밋 들을 하나로 합쳐서 Push 하게 되면 소스관리가 편해진다. 해당브런치로 터미널 실행 후, 1) git rebase -i HEAD~(Merge 할 커밋 개수) 2) merge할 commit의 pick -> squash or s 로 수정 3) ESC -> :wq -> Enter 4) commit message 정리 (※ 하나만 남겨놓는게 깔끔하더라.) 5) :wq -> Enter 참고로 Rebase 취소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git rebase --abort
2022.02.15 -
Spring Boot
Spring Boot 란? Spring Boot는 Spring 이라는 Java Framework 의 프로젝트를 말하며 이를 사용하면 쉽게 Application을 만들 수 있다. 즉, Spring Boot는 자주 사용하는 프로젝트 조합을 미리 만들어놓아 Spring 을 더욱 쉽고 간단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Spring Boot의 특징 단독으로 실행이 가능한 Spring Application을 생성한다. Tomcat, Jetty, Undertow 를 내장한다. (내장서버) 기본설정이 되어있는 starter 컴포넌트를 제공한다. 자주 사용하는 프로젝트 조합을 미리 만들어 제공한다. 상용화에 필요한 통계, 상태체크, 외부설정 등을 제공한다. 설정을 위한 XML 코드를 생성하거나 요구하지 않는다.
2020.12.21 -
Get vs Post
Get 방식이란? 입력한 데이터를 URL에 붙여서 전송한다(데이터가 다 보이므로 보안에 취약).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는 256바이트를 넘을 수 없다. 전송속도는 POST방식 보다 빠르다. POST 방식이란? 입력한 데이터를 본문안에 포함해서 전송한다. 입력한 데이터가 URL에 보이지 않으므로 GET방식보다 보안에 우수하다. 전송할 데이터l 길이에 제한이 없다. 복잡한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유용하다.
2020.12.21 -
HTTP vs HTTPS
HTTP 와 HTTPS 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Hypertext인 HTML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규약이다 HTTP는 암호화되지 않은 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주고 받는 메시지를 감청하는 것이 매우 쉽다. (감청하게 되면 로그인 비밀번호, 중요문서 열람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변조가 가능하다) 이를 보완한것이 HTTPS이다. HTTPS는 SSL프로토콜 위에서 돌아가는 프로토콜(SSL보다 조금 더 광범위한 개념) 컴퓨터와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통신을 할 때는 내부적으로 3가지 단계가 있다. (SSL이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전달하는 단계) 악수 -> 전송 -> 세션종료 공개키는 이상적인 통신 방법이다. 암호화와 복호화를 할 때 사용하는 ..
2020.12.21 -
Git
Git 이란? git은 분산 버젼(이력)관리 시스템 입니다. git이 파일을 관리하는 단위는 "폴더(디렉토리)"입니다. git은 파일을 untracked, tracked, unstaged, staged 네가지 상태로 관리합니다. Git 최초에 폴더와 파일을 생성하고나면 untracked 상태로 된다.(이력관리 대상에서 제외된 파일이다) 이력관리를 하고싶은 파일이 있다면, git의 특정명령어를 통해 tracked 상태로 변경해줘야합니다. (git에게 '앞으로 이 파일은 내가 이력을 관리할 파일이니까 변화를 잘 감시하고 있어'라고 요청) 이후, tracked로 변경된 파일은 staged 또는 unstaged의 상태만을 갖게됩니다. unstaged상태는 git이 해당파일을 이력관리 대상으로 포함하고 있으나, ..
2020.12.21